-
강해설교, 주해, 주석, 해석 등에 대한 정의신학 이야기 2024. 6. 30. 06:46
Intro
가끔 강해설교를 모르고 강해설교를 비난하는 사람을 만난다. 조금이라도 신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강해설교를 비난할 수 없다는 걸 알지만, 놀랍게도 목사 중에도 강해설교를 무지성으로 비난하는 사람을 만날 때가 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강해설교는 무엇인지, 주해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려고 한다.
밤꽃 사태 feat 강해설교와 엠마오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강해설교,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그리고 설교의 기술에 대한 대화 (1)
Intro 사실은 이번 대화는 정리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생각보다 꽤나 많은 사람들이 이 대화를 통...
blog.naver.com
용어 정리
외국의 Hermeneutics, 즉, 해석학 수업에서는 아래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한국 말로 뭐라고 변역해야 할지 애매한데 일단 각 용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해석학: 해석을 안내하는 이론과 방법론.
• 주해: 본문의 원래 의미를 밝히는 것.
• 설명: 본문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 주석: 본문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
• 강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서술하는 것.
• 해석: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의미를 도출하고 전달하는 것.
좀더 자세히
이제 각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
해석학 (Hermeneutics)정의: 해석의 이론과 방법론.
목적: 텍스트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해석하기 위한 원칙과 방법을 확립.
방법:
• 역사적-비판적 방법: 출처, 형태, 편집 비평 포함.
• 문학적 비평: 내러티브, 수사학 비평 포함.
• 정경 비평: 성경 전체의 맥락에서 텍스트 이해.
• 신학적 해석: 교리적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 읽기.
출처: Gadamer, Hans-Georg. Truth and Method. Continuum, 2004.
주해 (Exegesis)
정의: 텍스트, 특히 성경의 비판적 해석 및 설명.
목적: 저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원래 청중이 어떻게 해석했는지 밝힘.
주요 방법:
• 본문 분석: 단어의 의미와 문법 구조 분석.
• 역사적 맥락: 작성 시기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 파악.
• 문학적 맥락: 문학적 장르와 스타일 분석.
• 신학적 맥락: 신학적 주제와 교리적 의미 탐구.
과정:
1. 본문 분석:
• 어휘 연구: 단어의 의미를 조사.
• 문법 및 구문: 문장 구조와 단어 간의 관계를 이해.
• 본문 비평: 원본에 가장 가까운 본문을 결정하기 위해 원고 변형을 비교.
2. 역사적 맥락:
• 문화적 관습: 관습, 법률, 일상 생활을 이해.
• 역사적 사건: 본문이 작성된 당시의 사건에 배치.
• 저자와 청중: 저자와 원래 독자를 식별.
3. 문학적 맥락:
• 장르 분석: 시, 내러티브, 예언 등 장르를 구분.
• 문학적 장치: 은유, 직유, 우화를 인식.
4. 신학적 맥락:
• 교리적 함의: 본문이 종교적 신념의 넓은 범위 내에서 어떻게 맞는지 이해.
• 상호 텍스트성(Intertextuality): 다른 성경 본문과의 연결성을 분석.
예시: 창세기 1장의 주해는 고대 근동의 창조 신화를 탐구하여 성경의 창조 이야기가 당시 세계관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출처: Fee, Gordon D., and Douglas Stuart. How to Read the Bible for All Its Worth. Zondervan, 2014.
설명 (Explanation)
정의: 본문이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
목적: 독자가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도움.
범위:
• 단순화: 복잡한 신학적 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 맥락화: 본문의 상황에 맞게 배경 정보를 제공.
예시: 삼위일체를 설명하며 물의 세 가지 상태(얼음, 액체, 증기)와 같은 비유를 사용. (물론 이 비유는 잘못된 비유이다.)
출처: Erickson, Millard J. Christian Theology. Baker Academic, 2013.
주석 (Commentary)
정의: 본문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해석을 제공하는 책이나 노트.
목적: 본문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다양한 학술적 견해를 제공.
유형:
• 학술 주석: 학술적 연구와 원어 분석 포함.
• 신앙적 주석: 개인의 영적 성장을 돕기 위해 작성.
출처: Matthew Henry. Matthew Henry’s Commentary on the Whole Bible. Fleming H. Revell Company, 1710.
강해 (Exposition)
정의: 복잡한 개념이나 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목적: 주제를 철저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도움.
접근법: 설명적, 분석적, 비교적 방법 사용.
• 설명적: 구성 요소와 특징을 자세히 설명.
• 분석적: 아이디어를 이해하기 쉬운 부분으로 나눔.
• 비교적: 다른 이론이나 아이디어와 비교.
예시: 믿음으로 인한 칭의 교리에 대한 강해는 성경적 기초, 역사적 발전, 개신교와 가톨릭의 이해 차이를 탐구할 수 있다.
출처: Grudem, Wayne.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Zondervan, 1994.
해석 (Interpretation)
정의: 본문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명하는 행위.
목적: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텍스트의 의미를 도출하고 전달.
영향 요인: 개인적 관점, 문화적 맥락, 신학적 틀.
• 개인적 관점: 해석자의 배경과 신념.
• 문화적 맥락: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규범과 가치.
• 신학적 틀: 이해를 형성하는 교리적 위치.
예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해석은 역사적-비판적 관점, 해방 신학적 관점, 문학적 접근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출처: Osborne, Grant R. The Hermeneutical Spiral: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Biblical Interpretation. IVP Academic, 2006.
설교의 종류
이제 설교의 종류를 살펴보자. 가장 먼저 강해 설교이다. 주해설교의 경우에는 비판점만 있는데, 주해설교라고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마틴 로이드 존스 목사의 로마서 강해나 에베소서 강해가 여기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니 참조하자.
강해 설교 (Expository Preaching)
정의: 성경의 특정 구절을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설명하여 교훈을 전달하는 설교 형태.
특징:
• 본문 중심: 설교의 초점은 성경 본문에 있다.
• 구절별 설명: 성경 구절을 하나하나 해석하고 그 의미를 청중에게 전달한다.
• 맥락 고려: 문맥과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중요하게 여긴다.
예시: 로마서 8장 28절에 대한 강해 설교는 이 구절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바울이 이 구절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청중에게 설명하는 것이다.
출처: Robinson, Haddon W. Biblical Preaching: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Expository Messages. Baker Academic, 2014.
강해설교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좀더 참조하자. 이제는 본문주해설교를 강해설교로 이해하지 않는다.
≪리폼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 내용에 특정된 개인이나 관련 교회가 반론을
워싱턴중앙장로교회 담임목사인 류응렬 목사 © 리폼드뉴스 전 총신대학교 설교학 교수였으며, 현 워싱턴중앙장로교회 담임목사인 류응렬 목사의
www.reformednews.co.kr
강해설교란, 설교자가 하고 싶은 말을 설교하는 게 아니라, 성경이 말하는 걸 설교하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설교가 강해설교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목회자가 강해 설교를 말하기 시...
월터 카터가 설교자로 부르심을 받았다고 확신하기까지는 이 년이 걸렸다. “우리 흑인 교회에서는 말이...
www.tgckorea.org
주해설교 혹은 주석식 설교(running commentary)
정의: 성경구절 한 구절 한 구절을 풀어가는 설교
설명: 엄밀히 말해서 주해는 설교자가 설교를 준비함에 있어서 개인이 준비하는 한 과정이다. 이 설교는 주된 메시지를 찾기가 힘든다. 단지 본문이나 단어 혹은 사상을 나열해 줄뿐이다. 통일된 메시지를 구성해 줄 수 없다. 그리고 딱딱하고 지루할 수밖에 없다. 설교의 통일성은 물론이거니와 예술성이 없으며 설교의 분명한 목표가 없다. 그리고 전달하려는 중심적인 메시지가 없다. 아이언사이드(H.A. Ironside) 혹은 존 맥아더(John Macarthur)는 유명한 주해 설교가다.
본문 설교 (Textual Preaching)
정의: 성경의 특정 구절이나 짧은 본문을 중심으로 한 설교. (류응렬 교수에 따르면, 대지만 본문에서 끌어오고 소지는 본문에서 끌어오지 않는다.)
특징:
• 짧은 본문: 한두 구절을 선택하여 그 구절의 핵심 메시지를 전달.
• 집중적 분석: 구절의 단어와 문장을 깊이 있게 분석.
• 적용: 구절의 교훈을 현대적 상황에 적용.
예시: 시편 23편 1절을 중심으로 한 설교는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라는 구절의 의미를 깊이 있게 설명하고,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논한다.
출처: Kaiser, Walter C. Jr. Preaching and Teaching from the Old Testament: A Guide for the Church. Baker Academic, 2003.
주제 설교 (Topical Preaching)
정의: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성경의 여러 구절을 사용하여 설교하는 형태. (강해설교가 아닌 주제설교는 본문과의 연관이 적다. 물론 주제 설교 또한 강해설교가 되어야 한다. 즉, 설교자가 말하고 싶은 내용을 성경 곳곳에서 끄집어내는 것이 주제 설교라면, 강해설교는 똑같은 주제를 말하더라도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해당 본문이 말하는 바를 말하는 설교이다. 그래서 강해설교도 주제 설교가 될 수 있다.)
특징:
• 주제 중심: 특정 주제에 대해 성경 전체에서 관련 구절을 찾아 사용.
• 구절 통합: 다양한 구절을 통합하여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
• 실제 적용: 주제에 대한 성경적 교훈을 현실에 적용.
예시: “기도”라는 주제로 한 설교는 성경의 다양한 구절을 인용하여 기도의 중요성, 방법, 효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신자들이 기도를 실천하도록 격려.
출처: Stott, John R.W. Between Two Worlds: The Challenge of Preaching Today. Eerdmans, 1982.
교리 설교 (Doctrinal Preaching)
정의: 기독교 교리를 중심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설교.
특징:
• 교리 중심: 삼위일체, 구원론, 종말론 등 특정 교리를 설명.
• 성경적 근거: 교리를 뒷받침하는 성경 구절을 인용.
• 신학적 깊이: 교리의 신학적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
예시: “구원”에 대한 교리 설교는 구원의 본질, 과정, 결과 등을 성경적 근거를 들어 설명하며, 신자들이 구원의 확신을 갖도록 도움.
출처: Horton, Michael. The Christian Faith: A Systematic Theology for Pilgrims on the Way. Zondervan, 2011.
예화 설교 (Illustrative Preaching)
정의: 이야기나 예화를 중심으로 한 설교. (물론 예화 설교 또한 강해설교가 될 수 있다. 본문이 의도하는 바를 드러낸다면 말이다.)
특징:
• 이야기 중심: 성경 이야기나 현대의 사례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
• 시각적: 청중이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시각적이고 생동감 있게 설명.
• 적용 중심: 이야기의 교훈을 현대적 상황에 적용.
예시: 탕자의 비유를 통해 예수님이 전하신 비유를 현대적 맥락에서 설명하고, 회개와 용서의 중요성을 강조.
출처: Chapell, Bryan. Christ-Centered Preaching: Redeeming the Expository Sermon. Baker Academic, 2005.
'신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세기 스트라스부르의 피난처로서의 역할 (0) 2024.07.27 인본주의 선언과 신본주의 (0) 2024.07.04 교황권에 대한 역사적 논쟁 (1) 2024.06.04 성공회 공동체 (0) 2024.06.04 파리 논리학자들, 스콜라주의자들에 대한 통렬한 비판 (1)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