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말씀 믿음 삶
-
종리스찬, 사이버 렉카, 불륜 폭로, 그리고 소문에 대한 대화신앙/말씀 믿음 삶 2024. 3. 28. 20:56
Intro 요즘 종리스찬에 대한 대화가 자주 올라온다. 불륜을 저지른 사역자에 대해 "나 자신도 넘어질까봐 이 영상을 올리는 거다"라면서 누군지 이야기하지 않을 것처럼 하더니 결국 폭로를 하며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종리스찬의 행태에 대해 의아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꽤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그런데 반대로, 종리스찬에 대해 옹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불륜을 저지른 사역자들의 행태를 공개적으로 폭로해야 한다"는 것이 이 사람들의 생각인 것처럼 보인다. 불륜죄가 사라진 이 시대에 교회는 불륜죄를 공개적으로 재판해야 한다는 이러한 생각은 사실 모순된다. 불륜을 저질렀다면 공개해야 한다는 생각이 "사역자에만 치우치는 것"도 의아하다. (물론 치리해서는 안 된다는 건 아니다. 걸린 경우 반드시 치리는..
-
신본주의는 없다?신앙/말씀 믿음 삶 2024. 3. 15. 07:39
Intro 얼마 전에 잘잘법으로 유명한 교수님이 신본주의는 없다는 주장을 했다. 유명한 교수라는 분이 너무나 어처구니 없는 주장을 한 것이었다. 물론 그 주장을 하게 된 배경이 아예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주장 자체는 사실 너무 어처구니 없는 주장이었다. 언어는 사회의 약속이다. 사회 구성원이 어떤 단어에 어떤 의미를 담는다고 약속으로 정하게 되면, 그 단어의 뜻은 약속으로 정해진다. 그런데 교수라는 분이 자기 혼자 생각으로 사회의 약속을 틀렸다고 말하는 초유의 주장을 한 것이다. "신본주의라는 건 없는데 왜 쓰느냐"면서 말이다. 마치 신본주의라는 용어를 쓰면 무식한 것처럼 묘사했는데.. 솔직히 말하면 이것은 매우 시대착오적이다. 이 분의 주장은, 인본주의와 신본주의가 서로 대립된다는 주장은..
-
파라네시스 Paranesis신앙/말씀 믿음 삶 2024. 1. 20. 10:58
파라네시스 Paranesis "Paranesis" 또는 더 일반적으로 철자되는 "parenesis"(그리스어 παραινεσις에서 유래)는 도덕적 권고나 조언을 제공하는 수사적 스타일이나 글쓰기 장르를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담론은 종교적 또는 윤리적 텍스트에서 흔히 발견되며 실용적이고 교육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청중의 행동과 신념을 안내하고 그들이 특정한 미덕이나 도덕적 원칙을 채택하도록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성 요한 크리소스톰(St. John Chrysostom)의 강론과 같은 종교 문헌의 맥락에서 파레네시스는 종종 일상 생활에 적용되는 성서 해석을 포함하며 청취자나 독자에게 종교적 가르침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살도록 촉구한다. 이러한 형태의 교육은 단지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
기획 코칭 신청을 취소하다신앙/말씀 믿음 삶 2023. 12. 20. 07:22
Intro 페이스북에 아래와 같은내용이 올라왔다. 방대한 자료가 있는데, 이 자료가 워낙 많으니, 자료만 주기보다 세미나를 열어 자료에 대한 설명도 해주면 좋을 거 같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나는 외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데다가 기말 시즌이라 세미나에 참석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아래의 구글 설문지에, 참석할 수 없지만 자료만 받을 수 있냐고 남기고 신청했다. 신청이 되다 다행이 아래와 같이 세미나 신청이 잘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세미나에 참석하지는 못하지만, 자료라도 받을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참가비가 매우 저렴했다. 게다가 줌 강의도 보내준다고 하니 얼마나 감사한가! 하지만..!! 그런데 이상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현장에 오는 사람에게만 자료를 준다는 거다...
-
헬라어의 역사와 기원 그리고 종류신앙/말씀 믿음 삶 2023. 11. 8. 05:51
성경의 언어, 그리고 헬라어성경은 히브리어, 아람어, 헬라어로 기록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구약성서”라고 불리게 된 책의 (대부분 또는 전부) 본문은 원래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다(약 1%는 아람어로 기록되었는데 주로 에스라서와 다니엘서에 있다). 가톨릭이나 동방 정교회 정경에만 나오는 책들 중 일부는 헬라어로만 알려져 있다. 히브리어 성경은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 사이에 헬라어로 번역되었다. 이 번역판은 현재 일반적으로 “70인역”으로 불린다. 이 이름은 70을 의미하는 라틴어 septuaginta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이러한 이유로 로마 숫자 LXX도 이 번역판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그리스에서는 숫자 70에 상응하는 그리스 문자인 o'를 사용한다. Septuagint라는 이름은 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