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과 젠더는 쉽게 구분이 가능할까?젠더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논문들 2024. 9. 29. 00:53
얼마 전에, 성과 젠더에 대한 구분은 굉장히 명료하다는 주장을 들었다. 사실 이러한 정의 문제는 전공이 아닌 사람들이 보기에는 매우 말끔하게 떨어지는 것 같지만, 실제 전공자들은 그렇게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토론을 할 때 유식한 척, "이렇게 명료한데 왜 모호하다고 하느냐"라고 말하는 건 오히려 무식함을 드러내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Distinguishing Between Sex and Gender: History, Current Conceptualizations, and Implications”이라는 논문을 통해 성과 젠더에 대한 용어의 역사를 살펴보려고 한다.
1. 성(sex)과 젠더(gender)의 역사적 구분
이 논문은 성과 젠더 개념의 발전을 설명하기 위해 1950년대 John Money와 동료들의 연구를 언급한다. 그들은 성(sex)을 사람들의 생물학적 특징(예: 염색체, 생식 기관 등)과 관련된 것으로, 젠더(gender)를 그들의 심리적 특징과 행동으로 정의했다. 이 구분은 특히 성별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사람들, 즉 ’간성(intersex)’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등장했다.
• John Money의 기여: 그는 생물학적 결정론(biological determinism)을 넘어서는 젠더 정체성(gender identity)과 젠더 역할(gender role)의 개념을 도입하여, 사회적 양육이 개인의 젠더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그러나 그의 연구는 ‘John/Joan’ 사례(한 아기의 성 재지정 수술 후 젠더 정체성 문제)로 인해 비판받기도 했다. 이 사례는 젠더 정체성이 사회적 양육만으로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고, 성과 젠더 구분에 대한 더 복잡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했습니다.
2. Rhoda Unger와 젠더의 사회적 개념화
1979년, Rhoda Unger는 성과 젠더 구분을 재정립하며 성은 생물학적 기제에 의한 차이를 의미하고, 젠더는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기대되는 특성이라고 정의했다. 그녀의 주장은 성차별적 사회 구조에서 성(sex)이라는 용어가 생물학적 결정론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되었다.
• Unger의 젠더 정의: 젠더는 사회가 남성이나 여성에게 기대하는 행동, 역할, 특성으로 형성된 사회적 구성물(social construct)로 설명되었다. 이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고정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사회적 역할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3. 현재의 성과 젠더 정의
그 뒤에 이 논문은 현대 심리학과 사회학에서 성과 젠더가 어떻게 정의되는지 다양한 예시를 제공한다. 연구자들 사이에서 성과 젠더의 정의가 일치하지 않으며, 용어의 사용 역시 연구마다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 성(sex): 염색체, 호르몬, 생식 기관 등 생물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 젠더(gender):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와 역할로 정의되며, 이는 개인의 정체성이나 행동 방식과 관련이 있다.
4. 용어 사용의 일관성 문제
이 논문은 성과 젠더가 때로는 서로 교차해 사용되며, 이는 연구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연구자들이 실험에서 성을 측정한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젠더 역할에 대한 차이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 예를 들어, 실험 참가자가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 표시하는 질문에 응답할 때, 연구자들은 이를 생물학적 성으로 해석하지만, 실제로는 그 사람의 젠더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다. 이처럼 정의와 측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5. 성과 젠더의 상호작용
일부 연구자들은 성과 젠더를 독립된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본다. 즉, 생물학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행동과 특성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 성(sex)의 사회적 구성: 생물학적 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가 성을 해석하고 구분하는 방식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간성(intersex) 인구에 대한 의료적 개입이나 문화적 기대는 성별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사회적 압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 젠더의 생물학적 구성: 반대로 젠더 정체성이 생물학적 요인과도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뇌의 특정 부위가 젠더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는 성과 젠더의 구분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정리하자면, 이 논문은 젠더와 성을 구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것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젠더와 성은 개념상 쉽게 구분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의 지적 경솔함을 보여줄 수 있다.
'젠더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논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내에서의 반 젠더 운동 (4) 2024.10.01 크로아티아의 반 젠더 운동과 국민 투표 (1) 2024.10.01 젠더 개념을 반대하는 건 불가능할까? - 반대편의 목소리를 듣는 것 (2) 2024.09.30 성 혁명이 여성에게 미친 악영향에 대해서 (1) 2024.09.29 젠더 패닉은 왜 일어나는가 (6)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