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현대 사상과 어거스틴
    신앙/어거스틴 2024. 3. 23. 10:17

    Intro

    이번 포스팅은 21세기를 위한 어거스틴의 교훈이라는 주제의 Anthony Dupont 교수의 강의를 자료로 하여 포스팅한 글이다. 강의가 영어도 아니고 한국어도 아니지만, "기독교는 종교 태생이 가부장적이야"나 "예정론을 믿는다고? 인간은 기계나?"와 같은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유익한 강의라고 생각한다.
     

     


     

    현대에 어거스틴의 관련성은 무엇인가?

    초기 기독교 철학의 주요 인물인 어거스틴은 현대 사상과 문화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가르침과 생각은 현대 사회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그의 신념과 가치 사이에는 자율성과 같은 가치들과의 지속적인 긴장 관계가 있다.
     
    오늘날에 대한 어거스틴의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많은 학자들이 그의 가르침을 탐구하고 오늘날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있다. 초기 기독교 철학에서 어거스틴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그들은 그의 생각이 여러 방면으로 우리의 세계를 어떻게 계속 형성하고 있는지 이해하려고 한다.
     
    Anthony Dupont 교수는 톰 홀랜드의 책을 이용하면서 어거스틴이 서구 사상을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조명한다. 사회의 세속화에도 불구하고, 후기 고대 이후 기독교의 영향이 여전히 엄청난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아래의 링크를 보면, 톰 홀랜드의 "왜 세속 사회는 기독교 없이 존재할 수 없는가"에 대한 글을 확인할 수 있다.
     

    Why the Secular Can’t Exist Without Christianity

    There's a deeply based assumption that the secular is something that exists in the ether, that it's a concept that makes sense globally and back through time. But in fact, this is wholly false. The notion of the secular is highly contingent and culturally

    www.gethistory.co.uk

     
    그리고  조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 연설에서도 우리는 어거스틴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바이든 대통령의 어거스틴 인용은 맥락을 무시한 데다가 어거스틴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대충 인용한 것이기는 하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어거스틴 인용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도록 하자.
     

    Joe Biden quoted Augustine in his inaugural address. What would the saint think of our politics?

    The full context of Augustine’s line is perhaps not as rosy as Joe Biden might have suggested.

    www.americamagazine.org

     


     

    어거스틴의 초기 생애와 영향

    어거스틴의 기독교 내 진리 탐구는 크게 그의 독실한 어머니 모니카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성경의 원시적인 라틴 번역(벌게이트 이전의 벌게이트보다 미흡한 번역)과 다양한 신학적 질문들과의 투쟁을 겪는다. 답을 찾기 위한 탐구에서, 어거스틴은 선과 악의 존재를 해결하고자 하는 이원론적 신념 체계인 마니교를 탐구한다.

    어거스틴은 선한 신과 별개로 물질 세계에서만 악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 마니교의 이원론 개념에 대해 고민했다. 그러나 어거스틴은 이 신념에 만족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선한 신과 악한 신이 동등한 힘을 가진 신이라면서 마니교가 도덕적 실패에 대해 누구도 책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악을 행하면 악한 신의 영향을 받은 몸이 잘못이 잘못한 거고, 내 안에 있는 선은 악한 신과 상관 없이 보존되기 때문이다.

    암브로스와 신플라톤주의와의 만남을 통해 어거스틴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그는 선한 신에 대한 믿음과 세계에 존재하는 악의 존재를 조화시키는 방법을 찾고 싶었다. 암브로스는 어거스틴에게 도전적인 성경 구절들을 상징적으로 해석할 것을 조언했으며, 이는 그가 표면적인 의미를 넘어 성경을 더 깊게 파고들기 시작한 여정에 불을 붙였다.
     
    결국 어거스틴은 모든 창조물이 선한 신의 표현으로서 본질적으로 선하다고 가르치는 기독교 신플라톤주의에서 위안을 찾았다.
     

    어거스틴의 개종과 작업으로 이끈 것은 무엇인가?

    이제 어거스틴에게 있어 악은 선의 반대이며 비존재와 연결되어 있게 되었다. 이 신으로부터 분리된 악의 개념은 어거스틴을 기독교로 이끌었으며, 그는 이것이 최고의 철학이라고 믿었다.
     
    그의 개종을 통해 어거스틴은 사제와 주교가 되어 더 성경적인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그는 신학 논쟁과 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도나투스 운동과 같은 논쟁에 관여했다. 어거스틴은 또한 교회와 정치의 분리를 믿었다.

     


    어거스틴의 역할과 가르침은 무엇이었나?

    어거스틴은 지역 사회를 섬기며 예배, 설교를 담당하고 시민 문제에 관여했다. 오늘날의 판사와 유사하게 사람들 사이의 재판도 맡았다. 그는 공동체의 복지를 위한 사회 보장 제도를 확립하는 데 주요 역할을 했으며, 더 넓은 교회 문제에도 활동적이었다. 어거스틴의 가르침은 교회 내의 죄인과 순수한 이들의 공존을 강조하며, 용서와 관용을 옹호하여 사회와 교회 내의 단결을 촉진했다.
     


    어거스틴의 신학

    어거스틴은 로마 제국의 취약한 상황 속에서 제국의 지원을 받아 도나티스트들의 분리주의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했다. 그는 인간의 자율성에 대해 펠라기우스와 의견이 달랐으며,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지속적인 의존을 강조했다.

     
    어거스틴은 펠라기우스의 인간 선함과 자율성에 초점을 맞춘 견해와 달리, 인간이 신적 도움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그의 신학은 펠라기우스의 인간 선함과 자율성에 대한 강조와 대비된다.

     
    인간의 자율성은 기독교 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인간의 자율성을 옹호하는 쪽은 인본주의이고, 인간의 자율성보다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는 쪽은 신본주의에 가깝다. 인간의 자율성을 옹호하는 세속주의는 인간의 자율성보다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는 기독교에 적대적일 수 밖에 없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해서 "신본주의는 없다"고 주장하는 교수도 존재하는데.. 사실상 인본주의와 신본주의의 논의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신본주의는 없다?

    Intro 얼마 전에 잘잘법으로 유명한 교수님이 신본주의는 없다는 주장을 했다. 유명한 교수라는 분이 너무나 어처구니 없는 주장을 한 것이었다. 물론 그 주장을 하게 된 배경이 아예 이해가 안

    christianprince.tistory.com

     
    이러한 인간의 자율성과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논쟁은 개혁주의와 알미니안 논쟁에서도 나타난다. 알미니안은 하나님의 은혜에 더해 인간의 노력, 곧 자율성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하나님의 은혜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졌다는 알미니안의 가르침은, 결국 구원을 받으려면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즉, 인간이 구원을 쟁취하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서 알미니안은 자율성을 포기 못하는 현대인을 위한 기독교일 수도 있다.
     

    개혁주의와 알미니안 논쟁에 대하여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어거스틴은 그가 살았던 정치적 혼란이 가득했던 역사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은 그의 믿음을 형성하는 데 역할을 했다. 그의 주요 가르침 중 하나는 은혜에 관한 것이었으며, 이는 그의 사후 수많은 심도 있는 논쟁을 촉발했다.
     
    하지만 그의 작품 'retractions'에서, 어거스틴은 자신의 오류 가능성에 대한 자각을 보여주었다. 그는 인간 본성과 예정론과 같은 주제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반성했으며, 이는 학자들과 신학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어거스틴의 '고백록'은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나?

    어거스틴의 '고백록'은 서양 문학에서 뛰어난 문학 작품으로, 그의 기독교로의 개종 여정을 서술한다. 그것은 어거스틴이 당시의 펠라기안들에 대한 응답으로 제시한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서 중요한 텍스트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사상가들은 도덕적이고 덕스러운 기독교 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어거스틴이 반대한 견해였다. 펠라기우스, 셀레스티우스, 줄리아누스와 같은 펠라기우스 논쟁의 주요 인물들의 작품은 덕스러운 기독교 생활의 중요성을 옹호했다. 어거스틴의 자기 성찰적 여정은 자신의 내면을 깊이 파고들며 인간 존재와 영성의 복잡성을 탐구하는 현대적 주체 개념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로마의 몰락에 어거스틴은 어떻게 반응했나?

    410년, 알라릭이 이끄는 비시고트족에 의해 로마가 약탈당한 것은 제국 전역에 충격파를 일으켰다. 많은 사람들이 이 위기 속에서 기독교의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고, 피난민들은 히포의 어거스틴에게 답을 찾아 몰려들었다.
     
    이때 어거스틴은 '신의 도시'라는 작품을 집필하여 기독교의 영향을 방어하고 두 도시 개념을 도입했다. 어거스틴에 따르면, 두 개의 구별되는 사회 - 신의 도시와 인간의 도시가 있다. 어거스틴에게 이 두 도시는 사회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신의 도시는 영적 영역을 대표하고 인간의 도시는 지상의 영역을 대표한다. 로마의 몰락을 대면함으로써, 어거스틴은 신적인 도시와 지상의 도시의 역할을 조화롭게 하여 안정과 평화의 틀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어거스틴은 그의 사망 시점에 아프리카에서 그의 책들을 이탈리아로 가져가기를 바랐고, 이 임무는 그의 친구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완수되었다. 어거스틴의 책이 북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로 옮겨진 여정은 파비아에 있는 그의 무덤에서의 조각 예술 작품을 통해 탐구될 수 있다.
     
    16세기가 되어 어거스틴의 삶과 가르침은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우리가 오늘날 그의 역사적 중요성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일부 믿음과 달리, 어거스틴은 종교적 다양성의 시기에 살았다. 예를 들어, 1월 1일을 기독교 축일로 기념하는 것은 실제로 이교도 전통에서 유래했다.
     


     

    어거스틴의 설교가 기독교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어거스틴의 설교는 그의 청중들을 깊이 몰입시키고 은혜 개념을 강조하려는 목적으로 길게 진행되었다. 그는 또한 그의 설교 중에 다양한 기독교 견해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사후, 어거스틴은 일부 신학적 관점에 대해 비판을 받았으며, 이는 정통 신앙에 변화를 초래했다. 성별 평등에 대한 이론적 입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회적 성 역할 수용은 그 믿음과 모순되었다. 이론적으로 그는 성별 평등을 옹호했지만, 실제로는 여성을 소외시키는 사회적 규범을 따랐습니다.
     


    어거스틴의 성에 대한 견해

    어거스틴은 역사적 맥락에서 금욕과 결혼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논의한다. 그는 결혼 내에서 번식과 단결을 위한 성관계가 허용된다고 믿었으며, 이는 아담과 이브의 타락 이야기에 영향을 받았다.
     
    로마의 몰락과 같은 사건들에 의해 형성된 어거스틴의 성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은 그의 시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의 개인적인 삶과 믿음은 그가 살았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으로 강조되며, 그의 철학적 생각은 그의 시대의 논쟁과 상황에 의해 형성되었다.
     


     

    현대 논의에서의 어거스틴 신학

    어거스틴은 역사, 정교 분리, 신학에 영향을 미친 기독교의 핵심 인물이다. 하지만 그의 삶의 맥락과 잠재적인 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가 관여한 예정론과 같은 논쟁적인 주제들은 섬세하고 깊이 있는 관점을 요구한다.
     
    어거스틴은 그의 이론적 견해와 개인적 상호작용이 종종 다르더라도, 그의 삶에서 여성이 가진 중대한 영향을 인정했다. 그는 기독교 내에서 성별 편견을 지속시킨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어머니의 영향을 가치있게 여겼다. 어거스틴은 기독교 내에서 우세한 신념에 도전하며, 여성들이 동등한 도덕적 대리인으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회와 사회 내에서 여성을 동등하게 대우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어거스틴은 또한 여성의 역할을 모성과 결혼에 한정시키는 사회적 제약을 지적했다.

    신 플라톤주의와 기독교는 완전히 선한 신에 의해 창조된 세계에서 악의 존재를 논의하며, 선한 신에 의한 창조는 모든 창조물이 선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악은 존재의 부재로 정의되며, 신의 선함에 반하는 선택에서 기원한다고 어거스틴과 플라톤주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악의 개념은 인간의 선택에서 비롯되며,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이브의 결정과 같이 신의 선함을 의식적으로 거부함으로써 발생한다. 어거스틴의 철학적 탐구는 플라톤주의에 영향을 받아, 선한 신의 존재와 악이 존재하는 세계를 조화롭게 하는 신학적 딜레마를 해결했다. 현대인은 마찬가지로 고통의 문제, 악의 문제에 대한 질문이 많은데, 어거스틴의 생각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하나님 그리고 악과 고통의 문제

    Intro 한 사람이 들어왔다. 이 사람은 급하다며 얼른 질문을 하려고 했다. 도대체 어떤 질문인가 보았더니...

    blog.naver.com

     
    어거스틴에 대한 현대인들의 질문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자율성이다. 그런데 후기 현대 철학은 자율성의 아이디어에 도전하며, 대신 모든 것의 상호연결성과 상호의존성을 강조한다. 이는 자율성의 진정한 본질과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완전한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가, 아니면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든 항상 타인에게 얽매여 있는가? 이러한 사고는 규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어떤 행동이 정상이거나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를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가? 우리는 결정을 내릴 때 진정으로 자율적일 수 있는가, 아니면 항상 사회적 규범과 기대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이러한 철학적 탐구는 자유, 공동체, 제한과 같은 중심 주제들에서 영감을 받는다.
     
    자유란 무엇이며, 그 자유가 타인에 대한 우리의 의무와 어떻게 교차하는가? 진정한 자유는 제한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인가, 아니면 특정한 경계 내에서 자유를 찾을 수 있는가? 이러한 철학적 질문들은 신학적 및 종교적 주제들을 중립적이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성찰할 때 발생한다.
     


     

    어거스틴이 기독교에 미친 영향

    어거스틴의 성경 연구는 특정한 형태의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했으며, 이는 수세기 동안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도 바울의 글에서 영감을 받아, 어거스틴은 기독교에서 은혜의 개념을 강조했으며, 이는 구원을 위해 엄격한 법을 따르는 것보다 신앙을 더 중시한다. 그는 율법주의적 접근 방식에만 의존하는 대신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에 의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어거스틴의 은혜에 대한 교리는 수사학, 철학, 그리고 초기 기독교 저자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어거스틴은 은혜의 중요성을 강하게 주장했으며, 이는 성경의 가르침과 일치한다고 믿었다. 이로 인해 은혜의 범위와 신학에서 인간의 자유 역할에 대한 논쟁이 발생했다.
     
    종교개혁부터 시작해서 블레즈 파스칼과 얀세니스트들과 같은 어거스틴 사상의 수호자들이 있었다. 또한 어거스틴 테마를 참조하는 예술작품과 루벤스가 어거스틴과 관련하여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정리하며

    어거스틴은 철학과 신학 사이의 관계와 진리가 통일되고 분리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진리는 그리스도에 의해 대표된다고 믿었다. 그는 기독교와 진리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기독교가 진정한 행복, 예술적 영감, 도덕적 가치의 궁극적인 원천이라고 강조했다. 어거스틴의 관점은 진리가 본질적으로 영적이고 윤리적인 충족감으로 이끈다고 보았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