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어거스틴의 설교 연대 결정하기
    신앙/어거스틴 2024. 3. 28. 08:24

    Intro

    이번 포스팅은 J. Patout Burns의 Situating and Studying Augustine's Sermons에 대한 소개이다. 어거스틴을 공부했다면 J. Patout Burns의 이름은 한 번쯤 들어봤으리라 생각한다. J. Patout Burns의 논문 Situating and Studying Augustine's Sermons은 어거스틴의 설교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특히 설교들의 연대 설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 논문은 연대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어거스틴의 설교들이 그의 다른 저작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파악하는 데 필요한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Burns는 네 편의 연구를 자세히 분석하여 각각의 접근 방식, 발견, 그리고 한계점들을 평가한다.

     

    아래는 이 논문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이지만, 좀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위의 논문을 살펴보기를 바란다.


     

    요한 서신들에 대해서 

    먼저 Dating Augustine’s Tractates on John 섹션에서는 어거스틴의 요한복음과 요한일서에 대한 설교(Tractatus)들의 연대를 정하는 과정과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연구 방법론과 발견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 연구들은 어거스틴의 설교가 그의 신학적 발전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 과정 개요:

    초기 연구와 가정: 17세기 마우리스트 편집자들은 요한복음과 요한일서에 대한 어거스틴의 설교들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전달되었다고 판단했다. 그들은 설교 시리즈의 시작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단서들을 사용했다.

    Seraphinus M. Zarb의 연구 (1933): Zarb는 이 설교들의 연대를 정하기 위해 교회력, 외부 사건의 언급, 설교들 사이의 스타일 차이를 분석했다. 특히, 그는 요한복음에 대한 첫 12개 설교가 연속적인 날들에 전달되었다고 주장했다.

    Marie-François Berrouard의 연구 (2004): Berrouard는 Zarb와 다른 학자들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더 광범위한 분석을 통해 설교들의 연대를 더 정확하게 설정했다. 그는 요한복음에 대한 설교들이 어떻게 다양한 시기에 걸쳐 전달되었는지를 조명했다.

     

    연구 방법론 및 발견

    연대 추정 방법: 연구자들은 성례전의 언급, 스타일의 변화, 도나티스트와 펠라기우스에 대한 초점 변화 등을 분석하여 설교들의 연대를 추정했다.

    연대 설정의 중요성: 이 연구들은 어거스틴의 설교들이 그의 다른 신학적 저작들과 어떻게 시간적으로 관련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특히, 설교들이 어거스틴의 신학적 사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점들에 어떻게 위치하는지를 밝힌다.

    연구의 도전과 한계: 연대 설정 작업은 어거스틴의 설교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와 그의 신학적 사고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여전히 많은 도전과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Zarb의 초기 연구는 광범위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후대에 수정되고 만다.

     

    정리하며

    어거스틴의 설교 연구에 있어 연대 설정은 어거스틴의 신학적 사고와 교회의 교리 발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연대 설정은 어거스틴의 설교가 그의 신학적 발전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며, 그의 작업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도구를 제공한다.

    연대 설정의 과정에서 나타난 학자들 간의 협력과 연구 방법론의 다양성은 이 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보여준다. 각 연구자는 자신의 접근 방식과 해석을 통해 이 복잡한 퍼즐에 기여했다. 그 결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설교들이 당시의 교회와 사회, 그리고 그의 다른 저작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특히, 요한복음과 요한일서에 대한 어거스틴의 설교 연구는 초기 기독교 신학의 중심 주제들—삼위일체, 교회의 성질, 세례와 은혜의 역할 등—을 다루면서, 이러한 주제들이 어거스틴의 사상에서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창을 연다.


     

     

    연구들의 비교 분석

    1. Adam Ployd의 연구

    어거스틴을 공부했다면 Adam Ployd 또한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Ployd는 어거스틴이 도나티스트들에 반대하는 설교에서 어떻게 니케아 신조를 옹호하는 초기 교부들의 신학적 원칙들을 활용했는지 살펴본다. Ployd는 406년 12월부터 407년 6월 사이에 히포에서 연속적으로 전달된 41편의 설교에 주목한다. 이 설교들은 신학적 통일성을 지니며, 어거스틴의 신학적 사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loyd는 이 설교들이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와 삼위일체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2. Anthony Dupont의 첫 번째 연구

    Gratia in Augustine’s Sermones ad Populum during the Pelagian Controversy: Do Different Contexts Furnish Different Insights?"에서 Dupont는 펠라기우스 논쟁 기간 동안의 설교에서 은혜의 주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Dupont는 이 기간 동안 은혜, 자유 의지, 신앙 등에 관한 어거스틴의 가르침을 다룬다.

     

    3. Anthony Dupont의 두 번째 연구

    "Preacher of Grace: A Critical Reappraisal of Augustine’s Doctrine of Grace in his Sermones ad Populum on Liturgical Feasts and during the Donatist Controversy"에서는 어거스틴의 은혜 교리가 교회력의 주요 축제들과 도나티스트 논쟁 동안에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재평가한다. Dupont는 이 설교들을 통해 어거스틴의 교리가 일관되게 유지되었음을 보여주려 합니다.

     

    Dupont 교수의 발견에 따르면, 기존 Peter Brown의 책과 같은 "두 어거스틴 이론"에 대해 재고하게 된다. 즉, 기존 어거스틴 학계에서는 펠라기우스 논쟁 이전의 어거스틴은 행위를 강조했고, 펠라기우스 논쟁 이후의 어거스틴은 은혜를 강조했다고 보는 경향이 많았다. 하지만 Dupont 교수의 말이 맞다면, 어거스틴은 펠라기우스 논쟁 이전에도 은혜를 강조했고, 펠라기우스 논쟁 이후에도 행위를 강조했다. 즉, 행위와 은혜에 대한 어거스틴의 생각 자체는 그렇게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4. Joseph Clair의 연구

    "Discerning the Good in the Letters and Sermons of Augustine"에서 Clair는 어거스틴이 편지와 설교를 통해 기독교인의 도덕적 판단 과정에서 어떻게 선을 분별하고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해 조명한다. Clair는 특히 어거스틴의 사상이 개인의 구체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정리하며

    이 네 가지 연구는 어거스틴의 설교와 그의 신학적 사상, 특히 은혜, 교회, 삼위일체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Burns는 이 연구들을 통해 어거스틴의 설교가 당시 교회의 신학적 논쟁과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그리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평가한다.


    결론

    Burns는 연대 설정이 어거스틴의 설교들을 그의 신학적 발전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각 연구의 방법론적 접근과 결과는 어거스틴의 사상과 신학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연대 설정은 이러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도구이다.

     

    이 논문은 각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인정하며, 네 가지 연구 중 세 가지가 개별 설교의 연대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의존성은 어거스틴의 설교와 그의 다른 저작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loyd의 연구는 연대학적 작업을 가장 충실히 활용하여 어거스틴의 성례전적 및 교회적 이론의 발전을 조명한다. Dupont의 첫 번째 연구는 펠라기우스 논쟁 기간 동안의 설교를 중심으로 하여 은혜에 대한 어거스틴의 가르침을 조사하지만, 연대학적 문제에 대한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연구에서 Dupont는 연대 설정 문제를 피하려 하지만, 이는 분석의 깊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lair의 연구는 연대학적 순서보다는 어거스틴의 도덕적 가르침과 실천 과정에 더 중점을 둔다.

    각 연구는 어거스틴의 설교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하지만, 연구마다 접근 방식과 중점에 차이가 있다. 연대 설정은 어거스틴의 사상과 신학의 발전을 추적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향후 연구에서 더욱 세밀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Burns는 이러한 연구들이 어거스틴 설교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연대학적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