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도나투스 논쟁과 펠라기우스 논쟁 속 어거스틴의 교회론 핵심 개념 네 가지신앙/어거스틴 2024. 7. 2. 08:35
역사적 배경어거스틴의 생애와 업적의 역사적 배경은 그의 교회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히포의 어거스틴(354-430년)은 사회, 정치, 종교적 변혁이 두드러진 격동의 시기에 살았다. 이러한 맥락은 그의 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실천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교회에 대한 그의 견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어거스틴의 교회론에 영향을 미친 주요 역사적 요소와 논쟁들이다. 도나투스 논쟁도나투스 논쟁은 북아프리카 교회 내의 주요 분열로, 어거스틴의 교회론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도나투스파는 성례전의 유효성이 이를 집전하는 성직자의 도덕적 순수성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순수한 교회를 요구했다. 이 운동은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303-305년) 이후 등장했으며, 이 시기에 일부 기독교인(성직자 포함)이 죽음의 위협..
-
강해설교, 주해, 주석, 해석 등에 대한 정의신학 이야기 2024. 6. 30. 06:46
Intro가끔 강해설교를 모르고 강해설교를 비난하는 사람을 만난다. 조금이라도 신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강해설교를 비난할 수 없다는 걸 알지만, 놀랍게도 목사 중에도 강해설교를 무지성으로 비난하는 사람을 만날 때가 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강해설교는 무엇인지, 주해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려고 한다. 밤꽃 사태 feat 강해설교와 엠마오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강해설교,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그리고 설교의 기술에 대한 대화 (1)Intro 사실은 이번 대화는 정리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생각보다 꽤나 많은 사람들이 이 대화를 통...blog.naver.com 용어 정리외국의 Hermeneutics, 즉, 해석학 수업에서는 아래와 같은 용어를 사용..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간략한 역사책 소개 2024. 6. 21. 07:18
Intro이번 포스팅은 Lambert Lamberigts의 Vatican II: A Short History"에 대한 소개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가톨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공의회이다. 가톨릭의 역사를 완전히 뒤바꾼 공의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가톨릭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과 이후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다. 중세 시스템에 매몰되어 점점 도태되어 가던 가톨릭이 현대화한 공의회라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다. 개신교도라 하더라도 이 책을 읽는다면 현대 가톨릭에 대해 좀더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내용서론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20세기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묘사된다. 교황 요한 23세가 1959년 1월에 발표한 이 공의회는 현대적 도전에 대응하여 교회의 개혁..
-
오픈카톡방 공지사항삶/생각 2024. 6. 9. 01:46
지난 대화 목록 토론 및 대화 모음가톨릭 성찬 궁금증 고전 3:11-15에 등장하는 공적은 무엇인가?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 교리가 아니라 진리? 교회 내의 권위에 대하여, 그리고 목회자의 이중직...cafe.naver.com 추천 도서 목록 신앙 속에서 헤매시는 분들, 또는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분들을 위한 추천도서추천 도서나 카테고리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아무것도 모르는 분들에게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 / 르완 윌리엄스 -제자가 된다는 것 / 르완 윌리엄스 -차마 신이 없다...cafe.naver.com 많이 묻는 질문들더보기기독교는 비과학적이다?기독교는 비과학적이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일단 기본적으로 합리주의와 합리성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합리주의와 합리성을 구분하지 못하면..
-
교황권에 대한 역사적 논쟁신학 이야기 2024. 6. 4. 22:11
Intro내가 가톨릭 신학교에 들어가서 배운 사실 중 가장 놀라웠던 것은, 가톨릭 학자들조차 교황 빅터 이전의 교황에 대해 학술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고 다는 점이다. 수업 토론 시간에 교수님들이 교황권에 대해 반대의 입장을 취하면서 학생들을 농락하는 모습은 재미있었다. 그러자 분노한 한 신부님이 이렇게 물었다. 그러면 교황직은 가짜입니까? 교수님 왈, 나는 베드로부터 교황이었다고 믿는다. 하지만 빅터 이전에 교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없다. 물론 나를 비롯한 개신교인들은 처음부터 교황권에 대해 신뢰하지는 않아서 보통 교황권 논쟁 자체에 크게 관심이 없다. 하지만 양심 있는 가톨릭 학자들 사이에서는 교황 논쟁은 그야말로 뜨거운 감자이다. 이건 마치 알미니안 논쟁이나 새관점과 같은 논쟁거리이다...
-
성공회 공동체신학 이야기 2024. 6. 4. 07:18
성공회 공동체성공회 공동체는 19세기 영국 성공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이후 전 세계로 확장되면서 다양한 문화와 전통을 수용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국주의 시대에 영국이 식민지에 성공회를 전파하면서 공통체가 형성되었습니다. The Anglican Communion은 전 세계의 성공회 교회들이 하나의 연합체를 이루고 있는 구조입니다. 이는 1867년에 시작된 역사적 연합체로, 영국 성공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전 세계로 확장되었습니다. 각 지역의 성공회는 자치적인 교회로서 독립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공통의 신앙과 전통을 공유합니다. 성공회 신학은 국제적 차원에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겪었습니다. 성공회 신학은 다양한 국가와 문화에서 다르게 해석되었으며, 이는 성공회 신학의 다원성과 포용성을 보여줍니다..
-
파리 논리학자들, 스콜라주의자들에 대한 통렬한 비판신학 이야기 2024. 6. 2. 04:11
Intro이번 포스팅은 Charles Fantazzi의 글 “Vives and the Pseudodialecticians”에서 참조하였다. Vives는 가짜 변증론자들, 즉 의미 없는 변증법적 논의를 일삼는 학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했던 사람이다. 논리학자들에 대한 Vives의 비판Vives와 그의 초기 작품Enrique González 교수에 의해 발견된 Vives의 초기 작품들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들을 담고 있다. 특히 “Sapiens”는 모든 학문 분야를 탐구하며 진정한 지혜를 묘사하는 작품으로, 파리 논리학자들에 대한 Vives의 비판이 담겨 있다. 이 작품에서 Vives는 파리의 논리학자들을 가짜 변증론자들로 규정하며 그들의 학문적 무지를 폭로했다. 논리학자들에 대한 비판Vives는 파리의..
-
스페인에서의 반에라스무스주의: 학문적 갈등과 종교적 논쟁신학 이야기 2024. 6. 1. 08:42
Intro이번 포스팅은 Alejandro Coroleu의 글 “Anti-Erasmianism in Spain”에서 참조하였다. 스페인에서의 안티 에라스무스주의스페인에서 에라스무스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 중에는 특히 Juan Ginés de Sepúlveda, Diego López de Zúñiga, Sancho Carranza de Miranda가 주요 인물들이었다. 그들이 에라스무스를 비판한 이유와 방법을 집중적으로 분석해보자. Juan Ginés de Sepúlveda와의 논쟁Juan Ginés de Sepúlveda는 에라스무스의 작품인 “Ciceronianus”가 출판된 1528년부터 에라스무스와 논쟁을 벌였다. Sepúlveda는 로마에서 그의 후원자인 Alberto Pio의 에라스무스..